|
|
|
♣ 단양팔경 충북 단양군 단양읍 일원
단양 8경은 조선왕조 개국공신 정도전을 비롯하여 퇴계 이황 선생, 토정 이지함 선생 등 수많은 인물들이 쉬어갔던 곳으로 역사적으로나 문화적으로 유서깊은 명승고적들이 산재해 있다. 퇴계 이황선생이 군수재직시, 극찬을 했을 정도로 빼어난 절경을 이루고 있는 이곳에는 소백산과 금수산, 도락산의 계곡마다 기암괴석이 웅장하고, 맑은 물이 수많은 폭포를 이루어 관광객들의 발길을 멈추게 한다.
단양 8경은 1코스 도담삼봉, 석문, 2코스 구담봉, 옥순봉, 3코스 사인암, 상선암, 중선암, 하선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최근에는 충주호의 유람선과 단양 제 2팔경, 대명콘도개장 등을 중심으로 하여 종합관광지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천동관광지 소백산계곡 수를 이용한 물놀이장이 조성되어 여름 피서철 관광객이 많으며, 단양시내 고수대교 건너편에 단양 종합관광안내소가 위치해 있어 관광객의 편의를 제공해 주고 있다.
山明楓葉水明沙(산명풍엽수명사) : 산은 단풍잎 붉고 물은 옥같이 맑은데 三島斜陽帶晩霞(삼도사양대만하) : 석양의 도담삼봉엔 저녁놀 드리웠네. 爲泊仙사(떼사)橫翠壁(위박선사횡취벽) : 신선의 땟목을 취벽에 기대고 잘적에 待看星月湧金波(대간성월용금파) : 별빛 달빛아래 금빛파도 너울지더라 - 퇴계 이황-
단양8경과 방곡도예촌 충북 단양군 단성면 가산리와 대잠리 일대. 소백산과 월악산국립공원, 남한강을 아우르는 자연풍광이 빼어나고, 유서깊은 역사의 무대 단양은 역사기행지로 그만이다. 특히 단양8경 중 상선암, 중선암, 하선암의 3경을 잇는 약 10㎞의 청정계곡인 선암계곡은 한여름에 찾는 피서지로도 좋지만 한 겨울 눈에 덮인 모습은 마치 한폭 한국화와도 같은 풍경으로 방문객을 매료시킨다. 선암이란 이름도 조선 성종조의 임재광 선생이 신선이 노닐던 바위라 하여 붙였다고 한다. 그 외 도담삼봉과 동양 최대의 돌무지개 석문, 음악분수대, 지하 궁전세계 고수동굴이나 천동동굴을 둘러보고 마지막으로 충주호의 유람선을 타고 구담봉과 옥순봉을 관람하면서 단양8경을 모두 둘러보면 한나절을 보내기에 충분하다. 한편 온달장군이 전사했다는 온달산성 일대도 가볼만한 곳. 산성까지 약 30분 산행을 해야 하는데 산성정상에 서면 단양시가지와 구불구불 흘러가는 남한강의 전경이 시원스럽게 한눈에 들어온다. 산성아래 온달동굴은 1997년부터 일반인에게 개방된 석회암 동굴로 아직 전혀 훼손되지 않은 태고적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단양군청 문화관광과 043-420-3544 단양군 대강면 방곡도예촌은 전통 도자기만을 고집하는 10여명의 도예인들이 모여 살면서 가마에 소나무 장작불을 이용하여 도자기를 만들고 있다. 방곡은 최근 잇따라 발견되고 있는 옛 가마터에서도 알 수 있듯 17세기쯤부터 백자와 분청자기를 생산하던 조선시대 민수용 도자 기의 집산지. 특히 도자기 제작 원료인 사토와 물토가 풍부하게 매장돼 있으며 유약의 원료인 물토는 전국 최상급으로 인정받고 있다.
단양군은 94년부터 방곡도예촌 복원에 나서 전시판매장과 전통가마를 복원했으며, 휴게시설과 옹기공원도 조성했다. 최근엔 관광 객이나 수학여행단을 위해 창작 스튜디오와 도예체험장 세미나실 및 숙소를 갖춘 도자기공예교육원(043-422-5000)이 문을 열었다 - 출처 단양군청 -
단양팔경 丹陽八景 (충북 단양군을 중심으로 주위 12km 내외에 산재하고 있는 명승지.) 단양군에 있는 8가지의 명승지를 의미하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하선암(下仙岩):소백산맥을 흐르는 남한강 상류에 위치하는 단양 남쪽 4km 지점인 단성면(丹城面) 대잠리(大岑里)에 있으며, 심산유곡의 첫 경승지로서 불암(佛岩)이라 부르던 3층의 넓은 바위를 조선 성종 때 임제광(林齊光)이 선암(仙岩)이라 부른 뒤부터 하선암이라 개칭하였으며 봄에는 철쭉꽃, 가을에는 단풍이 온 산을 물들이며 절경을 이룬다.
② 중선암(中仙岩):단양 남쪽 10km의 단성면 가산리(佳山里)에 있으며, 삼선구곡(三仙九曲)의 중심지이다. 흰색의 바위가 층층대를 이루고 있으며, 효종 때 곡운(谷雲) 김수증(金壽增)이 명명(命名)한 것으로 전해온다. 암계류(岩溪流)에서 쌍룡(雙龍)이 승천하였다 하여 쌍룡폭포라고도 한다.
③ 상선암(上仙岩):단양 남쪽 12km 지점의 가산리에 있으며, 중선암에서 약 2km 올라가면 수만 장의 청단대석(靑丹大石)으로 된 벽과 반석 사이로 흐르는 계수(溪水)가 폭포를 이루고 있어 절경이며, 선조 때 수암(遂庵) 권상하(權尙夏)가 상선암이라 명명하였다고 한다.
④ 구담봉(龜潭峰):단양 서쪽 8km 지점인 단성면 장회리(長淮里)에 있으며, 남한강을 따라 깎아지른 듯한 장엄한 기암괴석으로 그 형상이 마치 거북같다 하여 구봉(龜峰)이라고도 하였다.
⑤ 옥순봉(玉筍峰):단양 서쪽 9km 지점의 장회리에 있으며, 그 솟아오른 봉우리는 자유분방하고 기상천외하여 예로부터 소금강(小金剛)이라 불렀다. 1549년(명종 4) 단양 현감으로 부임한 이퇴계(李退溪)가 석벽에 ‘丹陽同門’이라 각명(刻銘)했다 하며, 우후죽순같이 솟아오른 천연적 형색이 희다 하여 옥순봉이라 하였다고 한다.
⑥ 도담삼봉(嶋潭三峰):단양 북쪽 12km 지점의 단양읍 도담리에 있다. 남한강의 수면을 뚫고 솟은 세 봉우리 가운데 남봉(南峰)은 첩봉(妾峰) 또는 팔봉이라 하고, 북봉은 처봉(妻峰) 또는 아들봉이라고 한다. 조선의 개국공신 정도전(鄭道傳)이 이 곳에 은거하여 자신의 호를 이 도담삼봉에서 본떠 삼봉이라고 지었다고 한다.
⑦ 석문(石門):단양 북쪽 12km 지점의 도담삼봉 하류에 있다. 남한강변에 높이 수십 척의 돌기둥이 좌우로 마주보고 서 있는 위에 돌다리가 걸려 있어서 무지개 형상을 하고 있다.
⑧ 사인암(舍人岩):단양 남쪽 8km 지점인 대강면(大崗面) 사인암리(舍人岩里)에 있으며, 덕절산(德節山:780m) 줄기에 깎아지른 강변을 따라 치솟아 있는데, 우탁(禹倬)이 사인재관(舍人在官) 때 이곳에서 자주 휴양한 데서 사인암이라 하였다고 한다.
단양에는 그 밖에도 산자수명(山紫水明)한 죽령(竹嶺) 산정에서 떨어지는 죽령폭포, 운선계곡(雲仙溪谷) 상류에 위치하는 칠성암(七星岩), 가을철의 단풍으로 절경을 이루는 북벽(北壁), 소백산맥 중에 솟은 봉우리와 계곡이 절경을 이루는 구봉팔문(九峰八門), 계절에 따라 변모하는 아름다운 금수산(錦繡山), 고구려의 온달 장군이 축성했다는 온달성(溫達城), 길이 약 2km의 자연굴 천장에 통혈(通穴)이 있어 일광이 반사하는 일광굴(日光窟), 천태만상의 절경을 이루는 고수동굴(古藪洞窟) 등 제2 단양팔경도 알려져 있다.
청풍명월 도담삼봉 -사인암 등 병풍같은 풍경화에 감탄 온달산성-고수동굴 등 '우리도 있어요~' 손짓
◇ 도담삼봉 ◇ 사인암, 충북 단양을 제대로 느끼기에는 천지사방에 물이 넘쳐나는 '여름'이 가장 좋다. 카르스트지형 특유의 깎아지를 듯한 계곡과 하천, 그리고 넓은 강물과 석회암 동굴 등 단양의 자연환경은 여름에 제 모습을 선명하게 드러낸다. 6월중순 하얀 풍년초며, 연노란 밤꽃의 향기를 좇아 나서는 단양여행은 단양8경 등 절경 못지 않게 산촌 특유의 소박함에 젖어들 수 있어 더 정겹다. 다랭이 논과 밭에 싱싱하게 자라는 단양의 명물 육쪽마늘이며, 옥수수, 고추, 콩, 그리고 때늦은 누런 보리와 감자꽃 등…. 굽이마다 추억속의 고향 마을 풍광이 생생하게 펼쳐진다. 중앙고속도로의 개통으로 단양은 이제 서울의 지척(2시간30분 소요)이 됐다. 단양 여행은 고속도로를 빠져 나오면서부터 시작된다.
◇ 남한강 물길 중앙고속도로 북단양 IC에서 우회전, 5~6㎞ 정도 달리면 단양의 얼굴격인 '도담삼봉'이 나선다. 잔잔한 물위에 떠 있는 3개의 기암괴석 봉우리가 연못의 조경석처럼 절묘하게 자리잡고 있다. '강원도 정선군 삼봉산이 떠내려와 도담삼봉이 됐다'는 설과 '조선조 개국공신 삼봉 정도전의 아호가 비롯된 곳'이라는 유래를 간직한 비경이다. 도담삼봉 선착장은 유람선과 모터보트, 래프팅을 즐길 수 있으며, 아래쪽은 쏘가리, 붕어 등의 낚시 포인트이자 주변 식당주인들이 올갱이를 잡는 삶의 터전이다. 단양 8경 중 빼놓을 수 없는 비경이 '사인암'이다. 읍에서 사인암 가는 길 주변은 옛 시골의 정취를 듬뿍 느낄 수 있다. 5번 국도를 타고 영주-안동 방향으로 가다가 대강3거리에서 927번 지방도로 접어 들면 한쪽은 남조천 맑은 시내가 흐르고, 다른 한쪽은 올망졸망 다랭이 논과 밭이 이어진다. 평범해 보이는 시골길 중간에 병풍 같은 바위가 우뚝 솟은 사인암이 나선다. 멋을 부려 조각해 놓은 듯한 기암괴석 위에 앉은 노송이 일품이다.
◇ 온달공원 사인암 주변 남조천은 편편한 너럭바위와 노송이 운치를 더해 맑은 물에 발담그고 앉아 있자면 신선 놀음이 따로 없다. 예로부터 군사와 교통의 요지로 통했던 단양은 '산성(山城)'의 고장이기도 하다. 평강공주와의 러브스토리로 유명한 온달장군의 얼이 서린 온달산성이며, 신라 적성비가 세워진 적성산성, 독락산성, 죽령산성 등 절경속 사적들이 즐비하다. 온달산성 가는 길은 드라이브코스로도 그만이다. 단양읍 빨간 아치의 고수대교를 건너 고수재를 오르는 길은 완만히 굽이치는 남한강 물줄기가 한눈에 들어 오고, 이제는 보기 힘든 플라타너스 가로수 길이 강따라 운치있게 터널을 이룬다. 특히 온달산성 아래 온달공원은 고구려 시대상을 한눈에 살필 수 있는 전시관이 테마별로 구성돼 있으며, 너른 마당, 장승공원, 그리고 몇발짝만 나서면 푸른 남한강물이 눈에 들어 오는 등 가족 나들이로 적합한 곳이다. 단양관광의 또 다른 묘미는 동굴 탐험. 종유석으로 유명한 석회석 천연동굴인 고수동굴(천연기념물 256호)과 동양 최대의 수직동굴로 불곰뼈 화석이 출토된 노동동굴(천연기념물 262호), 이밖에 온달동굴, 천동동굴 등 기묘한 형상의 종유석을 품은 신비의 동굴이 도처에 산재해 있다. 특히 이들 동굴에 들어서면 마치 '풍혈'에서 뿜어대는 듯한 냉기로 한여름의 더위를 씻을 수 있다. 단양의 빼놓을 수 없는 자랑이 '레포츠의 명소'라는 것. 래프팅, 패러글라이딩 등 곳곳에 레포츠 체험의 장이 마련돼 있다.[스포츠조선]
교통 ◇ 서울 기준, 영동고속도로 만종 IC~중앙고속도로~도담삼봉, 적성산성 방면은 북단양 IC, 사인암 방면은 단양 IC에서 나온다. 청량리역에서 단양역까지 무궁화호로 3시간 소요. 숙박 ◇ 단양읍에서 고수대교~고수재를 넘어 온달산성 방면으로 강변 드라이브길을 달리다 가곡면 가대리에 이르면 강건너 목가적 풍광이 펼쳐지고, 그림같이 예쁜집 몇채가 눈에 들어 온다. 한울펜션(사진ㆍ043-422-4864)이다. 펜션 앞을 흐르는 강물에서는 견지-플라이 낚시꾼들이 손맛을 즐기고, 뒷산에서는 패러글라이딩이 한창이다. 이밖에도 단양에는 유스호스텔(043-421-5555), 대명콘도(043-420-8311) 등 큰규모의 숙박시설이 있다. ◇ 먹을 곳=가곡면 향산리 '함지박'의 우렁된장쌈밥은 빼놓을 수 없는 별미이다. 집된장에 우렁과 풋고추와 갖은 양념을 넣은 쌈장이 맛의 비결. 쌈밥 7000원, 된장찌개-뽕잎산채비빔밥 6000원. (043)422-3565
| |